[실습] CVE-2020-3836(cuck00) 이해하기
관련 글과 코드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wh1te4ever/xnu_1day_practice/blob/main/CVE-2020-3836
관련 글과 코드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wh1te4ever/xnu_1day_practice/blob/main/CVE-2020-3836
관련 글과 코드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wh1te4ever/xnu_1day_practice/tree/main/CVE-2019-6225
관련 글과 코드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https://github.com/wh1te4ever/xnu_1day_practice/tree/main/CVE-2019-8605
checksec GOT Overwrite가 가능함. Analysis / Decompiled-src main libc의 stdout 주소에 있는 데이터를 변조시킬 수 있다. 2바이트 정도 수정이 가능하며, 이후에는 쓰여질 address와 쓸 값인… 더 보기 »[CTFZone2025] baby_fpon (FSOP)
checksec Decompiled-src / Analysis 코드로 알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ghidra를 활용하거나 어셈블리어 코드로 보는게 낫다. 그나마 알아보기 쉽다. 하지만 매개변수는 제대로 출력해주진 않는다. 분석하기 좋다. 취약점까지… 더 보기 »[SekaiCTF2025] outdated (mips)
checksec Decompiled-src / Analysis main / setup / vuln stdin, stdout, stderr의 버퍼링을 모두 비활성화하고, 32바이트의 buf를 read를 통해 48바이트만큼 입력받는다. 따라서, 버퍼 오버플로우를 발생시킬… 더 보기 »[idekCTF2025] pwn/Little ROP (브포 X, pop rdi 같은 가젯이 없음)
VMWare을 사용한 이후부터 도커에서 포트 포워딩이 어느순간 안되기 시작했다. ChatGPT를 참고해서 물어보니 22222번 포트를 VMWare NAT Service와 docker/wsl과 같이 사용함으로써 포트 포워딩/프록시가 복잡하게 얽혀있어서 그런것이었다.… 더 보기 »vmware와 Docker(WSL)을 같이 사용중일 경우, 포트포워딩 문제 해결
http://support.apple.com/ko-kr/122716 해당 취약점은 macOS Sequoia 15.5에서 패치되었으며, 샌드박스를 탈출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. RemoteViewServices 서비스에서 취약점이 발생한다. Diffing / Analysis 취약한 macOS 15.4.1 버전과 패치된 15.5… 더 보기 »[1day] CVE-2025-31258: RemoteViewServices: 샌드박스 외의 제한적 파일 쓰기 취약점
보호 글이라서 요약이 없습니다.